본문 바로가기

의료기기 소송/요실금 인공망 (Transvaginal mesh)

여성 밑 빠지는 병, 골반장기탈출증(POP)이란?

#1 골반장기탈출증(Pelvic Organ Prolapse)이란?

옛날 어른들이 '밑 빠지는 병'이라고도 불렀던 골반장기탈출증(POP)은 여성이 임신과 출산, 폐경과 노화, 유전 등의 이유로 골반을 지지하는 근육이 느슨해져서 자궁, 방광, 직장 등의 골반장기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요실금, 자궁탈출, 방광류, 직장류, 탈장, 방광요도류 등의 병이 동시에 생기는 병을 말합니다.

골반에 있어야 할 장기들이 질 쪽으로 내려오면서 문제가 발생하며, 초산이 30세 이상일 경우 발병률이 더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 대부분이 가족들에게 알리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질병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병은 오래 서있거나 걷기만 해도 통증이 심하고 성관계가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는 병입니다. 

골반장기탈출증은 임신 및 출산, 폐경 및 노화, 유전적인 이유 이외에도, 비만이나 만성변비, 폐질환, 그리고 난산 등의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9만여 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스웨덴의 연구에 따르면, 첫 출산 연령이 30세 이상일 경우, 골반장기탈출증 수술 위험도가 첫 출산이 30세 이하인 여성에 비해 약 2배 높았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2 골반장기탈출증의 증상은?

증상은 탈출된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른 증상을 보입니다. 그러나 흔한 증상으로는, 약간의 압박감, 질을 통해 무언가 빠지는 느낌 등의 통증이 있으며, 아랫배에 무게감을 느낄수도 있고, 배뇨 및 배변 장애를 느낄 수도 있습니다. 장기간 서 있거나, 걷거나, 무거운 것을 들면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질 쪽으로 묵직한 덩어리가 만져지고, 평상시에도 그 덩어리가 빠져나와 있어서 걷기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3 예방 및 개선 방법은?

가장 좋은 방법은 케겔 운동(질 주위 회음부 근육을 조였다가 펴주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과 같은 골반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많이하는 것입니다. 또 복부의 근육도 강화시키고 평소에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변 시, 무리하게 힘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무리하게 힘을 주게 되면 골반근육과 주변조직이 손상될 수 있고, 약해질 수 있습니다.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주고 고섬유 음식(과일 및 채소)를 꾸준히 섭취해 대장을 건강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치료방법은?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미한 수준에서는 골반근육 강화시키는 케겔 운동만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심각한 수준에 이르면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의 종류에는 탈출된 장기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복부로 접근하는 복식이 있고, 질 쪽으로 접근하는 질식 방법이 있습니다. 이 때 모기장처럼 생긴 인공망(mesh)을 삽입하여 치료(Transvaginal mesh)를 하기도 합니다.

  • 질식 자궁적출술 (vaginal hysterectomy)
    자궁 탈출증의 수술요법으로 흔히 시행되며 개복을 통한 자궁적출술과 비교하여 다른 질식수술 즉, 전, 후 질벽협축술, 장 탈출 복원술 등을 위치 변화없이 동시에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자궁고정술 (uteropexy)
    미혼여성 또는 아기를 원하는 여성에서 발생한 자궁 탈출은 매우 드물기는 하나 선천적으로 골반저가 약화되어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천극 인대 고정술, 또는 복식 자궁 천골 고정술 등을 시술합니다.
  • 전 질벽 협축술 (anterior colporrhaphy), 후 질벽 협축술(posterior colporrhaphy)
    방광류가 심한 경우 전 질벽 협축술을, 직장류가 심한 경우에는 후 질벽 협축술을 시술하며 회음부가 약해진 경우에는 회음 성형술을 동시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질폐쇄술 (colpocleisis)
    성생활을 하지 않는 고령 여성이 그 대상이며 질을 제거하고 봉하는 방법입니다.

 

 

출처: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질환정보: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obstetrics_gynecology/disease/view.asp?con_no=20090